[학위논문] COPDAB 지수를 통한 남북관계 및 대북정책의 한계 분석 : 통일부 남북관계 일지(1998년〜2020년)를 중심으로
...점차 심화되면서 협력관계보다도 진폭이 심각히 커지는 모습을 확인했다. 남북관계는 진보정부에서는 우호적이거나 협상적인, 때로는 유화적인 공존관계를 나타냈고, 보수정부에서는 적대적이거나 기만적인 공존관계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역대 정부가 추진한 대북정책은 남북관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기는 했지만, 남북관계를 주도적으로 이끌지는 못했다. 협력 문제는 한국이 주도할 수 있었지만, 갈등 문제 해결에는 거의 영향을 미칠 수 없었다. 툭히 북핵이 고도화되고 남북교류가 위축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남북관계는 한국 대북정책보다는
북한전
략과 국제적 변수에 따라 더욱 영향을 받게 되었다. 知彼知己라는 말이 있듯 한국만의 생각에서 벗어나 북한의 생각을 읽고 그들 전략과의 접점을 찾아 남북관계를 풀어가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