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단시대 북한종교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회고
...사회단체나 국가기구에서 고위직으로 활동하는 등 비교적 높은 정치적 위상을 지녀왔다. 이는 북한의 종교현실을 통계적인 수치로만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동시에 북한의 종교에서 ‘순수한’ 종교 활동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그리고 향후 남북관계가 ‘평화 시’로 나갈 수 있다면, 남한 종교계는 북한의 종교가 북한 특유의 사회주의 체제 하의 종교임을 분명히 인식해야 하고, 통일 관련 활동을 통해 남북 종교계의 교류를 확하는 것이 현실적 이라는 사실도 주지해야 한다고 본다. 동시에
북한
종교
연구에서도 결에 서 협력으로, 갈등과 분쟁에서 조화와 상생으로, 분단과 정전에서 종전과 평화로 이행되는 남북관계를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