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북, '이색적 말투' 금지로 사회 통제…"평양문화어 써야"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북한에서 표준어인 '평양문화어'가 아닌 이색적인 말투 사용을 삼가자는 논의가 일고 있어 눈길을 끈다.
9일 연합뉴스가 입수한 북한 과학백과사전출판사 발간 잡지 '조선어문' 최신호는 김일성종합대학 부교수 김영윤의 논문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께서 밝히신 언어생활에서 이색적인 요소를 쓸어버릴 데 대한 사상의 정당성'을 실었다.
[뉴스] 정부, 민간단체 6곳 북한 주민 접촉 승인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통일부가 민간단체 6곳의 대북 접촉을 승인했다.
통일부는 25일 민간 차원의 남북 소통 채널 복구 및 대화 협력을 통한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 등을 위해 관계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인도적 지원과 종교 등 사회 문화 교류 목적의 북한 주민 접촉 신고를 수리했다고 밝혔다.
[지리/관광]
...⌟(전 2권) 이다.
이 소장은 우리나라 최고의 섬 전문가로 꼽힌다. 그는 1991년, 섬을 연구하는 사람이 거의 없던 시절, 우리나라 446개 유인도를 탐사하고 사회, 문화, 지리, 생태 등을 집대성한 ⌜한국의 섬⌟ 시리즈 (전 13권)을 펴냈다. 그는 북한의 섬에 대해서도 집필해보라는 주변의 권유를 받았지만 북한 지역 섬은 탐사는 물론이고 단순 방문조차 불가능해 포기했었다. 그러던 중 2021년 6월 「한국의 섬⌟ 시리즈 2쇄가 나온 것을 계기로, 우리나라 고구려사 연구의 대가(大家) 서길수 교수의 권유에 힘입어 다시 펜을 들고 자료를 뒤져가며 집필을 시작했다. ⌜북한의 섬⌟은 그렇게 꼬박 2년 가까이 매달린 산물이다.
난관도 많았다. 부족한 정보는 선각자들의...
[지리/관광]
...⌟(전 2권) 이다.
이 소장은 우리나라 최고의 섬 전문가로 꼽힌다. 그는 1991년, 섬을 연구하는 사람이 거의 없던 시절, 우리나라 446개 유인도를 탐사하고 사회, 문화, 지리, 생태 등을 집대성한 ⌜한국의 섬⌟ 시리즈 (전 13권)을 펴냈다. 그는 북한의 섬에 대해서도 집필해보라는 주변의 권유를 받았지만 북한 지역 섬은 탐사는 물론이고 단순 방문조차 불가능해 포기했었다. 그러던 중 2021년 6월 「한국의 섬⌟ 시리즈 2쇄가 나온 것을 계기로, 우리나라 고구려사 연구의 대가(大家) 서길수 교수의 권유에 힘입어 다시 펜을 들고 자료를 뒤져가며 집필을 시작했다. ⌜북한의 섬⌟은 그렇게 꼬박 2년 가까이 매달린 산물이다.
난관도 많았다. 부족한 정보는 선각자들의...
[사회/문화]
...제외하고 실질적인 지도자가 3대를 세습하는 체제는 북한이 유일하다. 본서는 1990년대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과 북한의 식량난, 촘촘하고 지속적인 UN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 정권이 체제를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북한은 폐쇄된 사회 내부를 사상적, 물질적, 물리적으로 통제하여 정권을 유지해 왔다. 북한의 사회통제는 주민들의 자유와 권리를 제한하고 침해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었다. 강력한 사회통제는 사회안전성이라는 기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사회안전성은 우리의 경찰에 해당한다. 일제 강점기 일본은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하부에 경찰 기구를 두어 식민지 한국을 통치했다. 바닥에서 한국인들의 사상과 문화 및 행태를 철저하고 치밀하게 통제함으로써 36년의...
[통일/남북관계]
...href="https://www.uniedu.go.kr/uniedu/home/pds/pdsatcl/view.do?mid=SM00001144&limit=16&sc=T&eqOdrby=false&eqViewYn=true&odr=news&ty=DOCUMENT&ht=DOCUMENT&id=21147&ty=DOCUMENT&vw=img&odr=news">2025 북한이해
국립통일교육원은 통일문제 및 북한, 한반도 주변 정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통일문제 이해』, 『북한 이해』를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이 책자가 각급 교육기관 및 통일교육 현장에서 통일문제와 북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데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통일/남북관계]
...지성사를 검토하며 그 쟁점과 특징을 포착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 책은 그러한 노력의 산물이다. 사상과 문학, 역사와 문화를 아우르는 이 작업을 통해 우리는 분단 이후 남북 지성사의 흐름과 계통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분단 고착과 탈분단의 사상 의식 그리고 지성사적 이념화 과정”을 다루었다. 1960-1970년대 한국의 지성사는 국가화된 민족주의와 그에 대립하면서 분단체제의 질곡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분리 · 정립되어 갔다.
2부에서는 남북의 지성사 가운데 문학사에 주목하여, “남북 문학사의...
[학술논문] 한국전쟁과 문화(인)의 배치 - ‘적치 90일’의 선전선동사업과 문화공작대 활동
... 두드러지는데, 특히 문학인들의 경우에는 전선으로 출동하여 종군기자․작가가 되거나 신문․방송에 선전의 텍스트들을 생산했다. 이태준과 임화는 종군기, 시 등을 통해 전쟁의 의미를 해석하고 이를 문학적으로 표상해내는 작업을 시도했다. 서울을 학대받은 도시로 의미화함으로써 전쟁의 정당성을 확보했던 것이다. 한편 점령기 미디어에는 남북의 사회와 예술을 비교하는 서술이 두드러진다. 북한과 소련의 문화예술은 모범적이고 우수한 것으로, 남한의 그것은 후진적인 상태임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구도를 남반부 예술인에 의해 말하게 함으로써 북한이 옳았다는 것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남북의 비교 서술은 어쩔 수 없이 남북의 차이를 드러내는 구조 속에서 작동하였고, 이 구별이 일상적으로 계속되는 동안에 ‘적치’의...
[학술논문] 통일헌법과 사회·경제통합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통일 이전에는 남북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문화․체육․예술 분야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져 서로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할 것이고 이를 통하여 통일 이후에 문화적 이질적인 요소로 인한 남북 갈등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법․제도적으로 사전에 정비를 하여 사회적 갈등과 대립이 생기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남북의 사회통합을 위하여 법․제도적으로 정비를 하여 개정할 것은 개정하고 보충할 것은 보충하며, 폐지할 것은 폐지하여 순차적으로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통일이 된 이후 사회․경제통합을 위하여 법․제도를 정비할 때 일방적으로 남한의 것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북한주민을 고려하고 우리의 법․제도 안으로 포섭하여 더불어 살아갈 수...
[학술논문] 전쟁의 정치적 변용 - 50~60년대 ‘항미원조’ 전쟁영화를 중심으로 -
...‘항미원조’ 전쟁영화를 대상으로 중국에서 한국전쟁이 재현되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신중국의 냉전문화 구성 과정 및 그 균열지점을 짚어보았다. <상감령(上甘岭)>·<기습(奇袭)>·<영웅의 아들딸(英雄儿女)>은 항미원조 전쟁을 다룬 ‘17년 시기’의 대표적 작품으로서 제작년도(1956년, 1960년, 1964년)의 사회적 동향을 반영하여 각각 상이한 각도에서 대중정치를 작동시키는 방식을 보여준다. 동일한 전쟁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기억하는 주체에 따라 전쟁의 양상은 판이하게 달라진다. 한국전쟁은 1차적 당사자인 남․북한 외에도 미국과 중국, UN 연합국이 참여한 국제전으로서 각국에서 한국전쟁 이미지는 판이하게 다르다. 한국전쟁은...
[학술논문]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한 상호이해교육 방안 탐색
... 교과서에서 통일에 대해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다. 이를 포함한 남한 사회과 관련 교과서에서는 통일의 필요성, 통일의 혜택, 통일을 위한 남북 교류의 과정, 지향하는 통일의 방향,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해 등을 약간씩 담고 있으며, 북한의 이해를 위해 자연환경이나 북한의 개방지역, 비무장지대의 이점을 소개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남북한의 질적인 상호이해와 점진적인 소통을 위해서는 남북한의 시각을 교육하는 방안, 남북한 문화 이해 교육, 남북한 체제 이해 교육, 남북한 사회 이슈 교육이 필요하며 이러한 내용을 다루기 위해 다양한 수업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학술논문] 탈북청소년 연구동향과 과제
... 75.78%나 차지한다. 셋째, 연구주제는 사회, 문화, 학교, 심리적응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치료, 외상, 소비의식, 정체성, 다문화, 학습장애, 중도탈락 등 탈북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하는 주제가 많았다. 그러나 적응과 관련된 연구는 중복되는 연구가 많았고, 탈북청소년의 사회통합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미흡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탈북청소년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