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요동시집 『영웅 나라 아이들』의 애국주의 전쟁기 북한 어린이문학 연구
... 이바지하기 위한 언어 유도 현상을 보여 준다. 내포적 우리와 ‘원쑤’ 사이 자타 이분법적 범주화, 최상위 상태의 꾸밈말이나 부풀림, 단조로운 비유, 잦은 반복법이 그들이다. 그들을 빌려
북한이 맞닥뜨린 전쟁 현실에 대한 은폐와 왜곡, 정당화가 자연스레 이루어졌다. 따라서 전쟁기
북한의 어린이시는 왕성한 애국주의 주체의 구성과 실천을 위해 자기중심적이고도 자기 억압적인 담론으로 한결같음을 알았다. 피아 사이에 중간 장소가 없는 흑백 논리, 이념적 절대화만을 공유하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