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2차 국공내전기 미 해병대 중국 파병과 북한-중공 군사 동맹의 형성에 대한 연구
...군사적 입지를 확보하려는
중공에게 미 해병대의 중국 파병은 전략적 차원에서 장벽으로 작용하였으며, 적대적 인식을 심게 하였다. 미 제3상륙군단이 상륙한 1945년부터 주요 전력이 귀국하는 1947년까지 중공군은 미 해병대를 압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교란 공세를 펼쳤으나, 미 해병대는 거점 방어 원칙을 고수함으로써 중공군의 공세를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이런 상황에서 장제스는 미국 측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만주 공세를 개시하였으며, 중공군은 만주에 고립되는 전략적 열세에 처하게 되었다. 동 시기에
북한은 만주에 고립된 중공군에 대해 군사적 원조를 지원하였는데, 이를 통해 중공군은 재정비의 시기를 거쳐, 총반격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국공 내전이 끝나가는 1949년 중반에,
중공은 조선족 부대 2개 사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