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커뮤니케이션 양상‒남한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와 북한 소학교 1학년 교과서 활동 분석을 중심으로
본연구는 집단 커뮤니케이션 이론;
비고츠키의
공간
모형과 커뮤니케이션 프라이버시 관리 이론을 활용하여 남북한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커뮤니케이션의 양상과 그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고츠키의
공간모형 Ⅰ영역은 교사의 언어 사용 전략;개념 안내에 대한 학습의 수용 과정이 진행된다. Ⅱ영역은 학습자가 새로 학습한 언어 사용 전략;개념;아이디어를 기존 전략;개념;아이디어와 조합하는 ‘변형 과정’이 진행된다. Ⅲ영역은 학습자가 수용하고 변형한 반응을 공적으로 드러내는 ‘공개 과정’이 진행된다. Ⅳ영역은 교실 담화 공동체 구성원들이 공동체 담화 관습을 익히는 ‘관습화 과정’이 진행된다. 분석 결과 남한의 1학년 국어 교과서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