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 사찰 불교회화의 현황과 과제
...벽화에서 액자로 불화의 형태 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불단, 불상, 공예품과 함께 촬영되었기에 전각 내부에서 불화의 총체적인 기능을 이해할 수 있다. 1911년 제정된 사찰령은 식민지 문화정책의 방향과 목적을 드러내는데, 불교문화재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를 초래했다. 예배 존상으로서의 성보가 재화적 의미의 귀중품으로 인식되었다. 임진왜란 의승병을 위해 정조가
사액하여 만든 보현사 수충사에 삼화승 진영과 나란히 일본 임제종 개산조 진영이 봉안된 사례나, 식민통치 20주년 시정을 과시하기 위해 1929년에 개최한 조선물산공진회에 출품된 나옹화상계첩은 식민지 상황의 교단이 당면한 환경을 보여준다. 또한 중봉 혜호, 석옹 철유, 혜산 축연 등 금강산 불화승의 사례를 통해 개항기 불교미술품의 제작 환경 변화를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