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쟁에서 ‘민중’을 발견하다 -강진철의 대몽항쟁사 연구-
...고려시대사의 한 주제가 대몽항전사이다. 그 첫 번째 계기를
삼별초에 대한 재평가에 의하여 1940년대 초 김상기 선생이 만들었고, 그 두 번째 계기를 만든 것은 1970년대 초 강진철 선생이었다. 그 ‘두 번째 계기’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몽골과의 전쟁에서 ‘민중’을 발견한 일이었다. 강진철(1917-1991)은 사회경제사의 연구 분야를 평생 천착한 대표적 학자이지만, 고려시대 거란 및 몽고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의미 있는 업적을 남겼다. 강진철이 제안한 몽고 침입에 대한 시기 구분은 지금으로서는 가장 유효한 틀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몽항쟁 항전의 주체로서 노비, 농민과 같은 민중들을 부각한 것,
삼별초 봉기의 역사적 의의를 민중의 반몽, 반정부 항전에서 찾은 견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