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함경도 <새타령> 고찰
...
새타령이 있으며, 그 음악의 형태가 지금까지 학계에서 보고된 사례와는 다른 독특한 유형으로 정체 규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함경도 퉁소 및 민요
새타령을 살펴보고 두 음악 간 상관관계를 밝혔으며, 분석 과정에서 드러난 음악적 특징을 바탕으로 그 음악의 정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고의 분석 결과 함경도 퉁소
새타령과 민요
새타령은 동일한 선율로 구성되며, 선율 구성에 따른 악곡의 구조에서도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민요
새타령에 보이는 퉁소 구음 및 연주 등의 음악적 특징을 근거로 두 음악이 같은 계통의 음악이라 결론지었다. 함경도 지역
새타령에 대한 새로운 정의는 다음과 같다. 함경도
새타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