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바이오 안보 전략Ⅰ: 한국형「핵산 합성 스크리닝」제도의 도입 필요성
21세기 생명과학의 발전은 인공지능(AI)과 결합하면서 합성생물학이라는 흐름을 통해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DNA 및 RNA 합성 기술이 자동화되고, 유전자 편집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신약 개발, 백신 생산, 유전자 치료 등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한 이러한 기술 발전은 동시에 새로운
생물학적 안보
위협을 초래, 또는 기존의 바이오 안보 이슈를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합성생물학 기술이 악용될 경우 치명적인 병원체의 인공 합성, 백신 회피 바이러스 제작, 유전자 무기 개발 등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영국을 비롯한 주요 글로벌 NGO들은 “핵산 합성 스크리닝(Nucleic Acid Synthesis Screening)”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