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0년대 전후 레짐(postwar regime)과 잡지 ‘희망’의 위상
...내용을 다루었다. 여기서 북한 발 신남철의 ‘
생활의
아메리카니즘’에 대한 신랄한 비판은 신태양과 여자계와 더불어 월간 희망을 그 타깃으로 삼고 있었다. 이 ‘
생활의
아메리카니즘’의 적극적 유포자로 낙인찍힌 월간 희망은 한편으로 영화 코너들을 활용한 독자대중의
아메리카니즘에 대한 선망과 욕구를 자극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전시 수행을 위해 증대된 미군과 미군 기지의 현존이 야기한 전후의 문제들을 여성 섹슈얼리티로 매개하고 전시하게 된다. 잡지 ‘희망’은 1950년대 대중지의 매체 지형을 공유하면서, 전후 한국사회의 급격한
아메리카니즘을 이른바 지식인과 파워엘리트들의 견문과 시찰 등의 고급문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