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최한기 철학 독법과 한계 - ‘조선철학사’ 서술의 변화와 특징을 중심으로 -
...연구성과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이라는 철학사의 기본 전제와 체제 이념이 최한기 독법의 족쇄가 되었기 때문이다. 마르크스 레닌주의에 입각한 조선철학사는 1970년대 중반 체계화된 주체사상을 강령으로 하여, 민족문화유산 계승과 계급 교양의 도구가 되었고, 1980년대 강화된 역사주의와 계급주의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 세계관 투쟁에 따라
서경덕으로부터 최한기로 이어지는 중세 유물론 철학의 계보화가 이루어졌고, 계급 투쟁에 따라 최한기 사상의 역사적 한계도 부각하였다. 최한기 연구는 『기측체의』 중심으로 인식론에 집중하였고, 사회ㆍ정치사상을 다룰 때 『인정』의 일부만 인용하는 등 자료의 편중도 문제다. 기일원론 외에 최한기 철학사상의 진보성은 대동사상, 무신론, 개국론 등이 조명되었는데 실학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