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김일성도 먹었던 짜장면…북한서 분식장려 속 인기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해 분식을 장려하는 북한에서 짜장면이 인기를 끌고 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평양 창광음식점거리의 '짜장면집'에 주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고 15일 보도했다.
[뉴스] 북한 "경제발전 5개년 계획 완수하고 9차 당대회로 총진군"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북한이 노동당 창건 80주년 경축행사를 매듭지은 데 이어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내년 초로 다가온 제9차 당대회를 준비하자며 주민들을 독려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5일 '80돌을 성대히 경축한 기세 드높이 영광의 당대회를 향한 보무를 더욱 힘차게 내짚자' 제하의 1면 사설에서 이같이 밝혔다.
[뉴스] 北 "다극세계 수립 확고한 대세…자주는 막을 수 없는 흐름"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최근 외교적 입지를 넓히며 '다극화'의 주요 축을 자처해온 북한이 주민들이 보는 관영 매체를 통해서도 "다극세계의 수립이 확고한 대세"라고 선전에 나섰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9일 '국제관계의 새로운 변천은 막을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서방이 더는 다른 나라들을 지배하는 지위에 있지 못하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뉴스] 정동영 "지역사회 탈북민 책임부처 놓고 행안부와 계속 협의"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김효정 김유아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행정안전부가 (북한이탈주민의) 초기정착 이후에 책임부처가 되는 것이 맞지 않는가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윤호중 (행안부) 장관과 계속 협의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뉴스] "관람열기 고조"…9차 당대회 앞둔 北, 대집단체조로 내부결속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북한이 5년 만에 재개한 대집단체조(매스게임)를 조만간 개최될 9차 당대회까지 주민들의 성과를 독려하고 체제 결속을 다지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1일 노동당 창건 80주년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조선노동당 만세'가 "연일 성황리에 진행되고 있다"며 주민들의 '관람 열기'를 보도했다.
[경제/과학]
서울이 한국의 전부가 아닌 것처럼,
평양이 북한의 전부가 아니다
중앙이 아닌 〈지방〉의 관점에서 바라본 북한경제
서울이 한국의 전부가 아니듯, 북한 역시 마찬가지다. 북한이라는 복잡한 퍼즐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여러 지역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임에도 기존의 많은 북한 관련 도서들은 중앙의 정치와 제도를 중심에 두고 있다. 실제로 북한은 사회주의 경제개발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방경제의 자립을 중요하게 여기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물론, 지방경제를 “인민생활을 균형적으로 향상시키는 가장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경제발전 단위”라고 설명해 왔다.
《생산도시 순천》은 한국전쟁 이후 북한의 대표적인 중화학공업 도시이자, 1990년대...
[정치/군사]
...극명하게 드러났다.
태평양 전쟁도 끝을 향해 달려갔다.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졌고, 불과 며칠 뒤 나가사키에도 같은 운명이 닥쳤다. 동시에 소련군은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고 한반도 북부로 진격했다. 단 열흘 만에 나남, 청진, 원산을 차례로 점령했고, 일본군은 속수무책이었다. 이후 9월 9일, 미군이 서울에 도착해 일본군 항복식을 열며 남쪽에는 성조기가 걸렸다. 한반도의 운명은 남과 북으로 갈라지는 길 위에 놓였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오해하듯 북한이 ‘친일 청산’을 완전히 해낸 것은 아니었다. 북한 정권 내부에도 일본군이나 헌병 보조원 출신 인물들이 요직에 올랐다. 홍명희, 김달삼, 김영주 같은 인물들이 대표적이었다...
[지리/관광]
가장 가깝고도 먼 땅 북한을 알아야 하는 이유
북한과의 경계인 휴전선은 서울에서 50㎞도 떨어져 있지 않다. 게다가 인구의 절반이 거주하는 수도권 바로 북쪽에 북한이 있다. 북한은 이처럼 필연적으로 주변의 어느 이웃보다 우리에게 큰 영향을 주게 되어 있다. 그러나 북한에 대한 우리 사회의 무관심과 냉소주의는 나날이 깊어지고 있다. 여기에는 그동안 반복되어 온 북한의 도발 외에도 우리가 일상에서 보고 듣는 북한 뉴스에 그 원인이 있다. 매체를 통해 보도되는 북한에 대한 뉴스는 북한 최고지도자의 근황과 같이 정치·경제적인 내용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뉴스에는 그것이 우리와 시공간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빠져 있다. 즉 우리가 접하는 북한 정보에 지리적 맥락이...
[사회/문화]
...토대를 기초로 북한이라는 영역으로 그 학문의 영역을 확장하여, 인문학자이자 통일, 북한이주민, 사회통합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서울시립대학교 자유융합대학 곽상인 교수님과 북한 출신 주민들이 겪는 희로애락을 직접 경험한 연구자이자, 학문 탐구에 대한 열망을 가지고 사회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열정적인 연구자로서, 이들의 삶의 이야기를 듣는 과정에서 자신의 경험과 비교하며 보다 생생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김 지일 연구자와 함께 한국에 거주하는 북한 사회 성소수자 관련 이슈에 주목하였습니다. ‘일상생활’이라는 익숙하고도 낯선 단어를 북한 이주민들과 엮어볼 때 어떠한 방식으로 풀어낼지에 관한 고민과 숙의의 과정에서, 그들의 일상 그대로를 생생한 언어로 구술하는 일이 보다...
[정치/군사]
...눈여겨봅니다. 어쩐지 남 일 같지 않아서 그러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중국과 대만 사이에 전쟁이 날지 모른다는 주장에도 귀를 기울입니다. 중국-대만 전쟁이 일어나면 곧바로 한반도에 불똥이 튈지 모른다는 게 이제는 상식처럼 통합니다.
2023년 5월 31일 아침 6시 반. 서울 곳곳에 난데없는 사이렌이 울립니다. 시민들의 휴대전화마다 경계경보가 울리고 위급재난문자가 뜹니다.
“오늘 6시 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텔레비전에서도 대피 방송이 나옵니다. 아직 잠에서 깨지 않은 사람들, 출근 준비를 하던 사람들, 아침 식사를 하던...
[학술논문]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의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focused on their health and service-use challenges.Methods: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approach, conducting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ten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 semi-structured interview format was used to explore parenting beliefs, intergenerational practices, and the impact of the defection proces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학술논문] 5・15 서울역 회군과 5・27 결사항전 비교 연구
이 연구는 5・15 서울역 회군을 이끌었던 서울대 학생지도부와 5・18 항쟁의 주역 가운데 하나인 윤상원과 시민군의 5・27 결사항전에 초점을 맞춰 두 개의 사건이 한국 민주주의의 전개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 역사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비교사적 방법을 통해분석한다. 두 사건의 공통점은 1980년 5월 대한민국에서 신군부의 권력욕이 작동한다는 점에서동일한 역사적 정치적 조건 위에 있었다. 시간적으로 5・15 서울역 회군 직후에 5・18 광주민중항쟁이 발생한다. 하지만 두 사건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5・27 전남도청에서 윤상원과 시민군은 피할 수 없는 상황에 맞닥뜨리자 결사항전으로 죽음을 선택했다. 반면 5・15 서울역 회군에서학생 지도부가 공수부대가 투입된다는 공포로 인해 후퇴를 선택해,...
[학술논문] 탈북 1인 가구의 남한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 후 남한에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특성이 어떠한 지 파악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표집 하였고, 탈북 후 남한에 혼자 사는 1인 가구 중 서울경기의 수도권 4명, 지방 5명 총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에 의하였으며, 면접 조사 및 자료 분석은 교육학 및 심리학 박사 3명에 의한 삼각 검증법으로 진행되었다. 합의도출 결과 5개 범주, 14개 하위영역, 62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탈북 1인 가구는 남한입국 이전의 가족 해체된 경험으로 결혼보다는 남한사회 정착이 우선이었고 재북 가족과의 미해결과제가 남아있으며, 남한입국 후 가족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또한 1인 가구로서의...
[학술논문] 조선후기 조령산성의 운영과 수성절목
...설정된 곳이었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와 감독을 조령 별장이 하도록 규정되었다. 조선 후기의 산성들에서 이처럼 성이 자리한 산이 황장목 보호지역으로 된 곳은 이곳 조령산성이 가진 또 하나의 특징이었다. 조령산성은 수축이 논의될 때 산성을 지키기 위해 많은 대포와 총 및 탄환이 제작되었다. 대략 큰 대포 250문 이상 각종 총포가 제작되었으나, 동시에 진행된 서울 도성 배후의 북한산성이 수축되어 그곳의 방어에 필요한 무기를 확보하기 위해 옮겨졌다. 이후 산성을 지키기 위한 각종의 깃발과 신호용 악기, 취사와 야영에 필요한 도구, 통신시설의 유지와 신호에 필요한 각종 장비 등의 군사장비는 착실히 마련되어, 1894년에 기록된 매우 자세한 목록이 남아있다. 이들을 통해 다른 산성들과 달리 조령산성은 전통적인 군사제도가...
[학술논문]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연구
본 연구는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현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 개인적 특성, 경제적 특성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영향과 이들이 소비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소비자역량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경로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은 만25세~60세의 서울거주 여성 북한이탈주민 278명으로 구성되었다. 소비생활적응은 시장거래에서 좌절이나 두려움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심리적응’과 시장환경에 대한 이해와 시장거래에 대한 효능감을 나타내는 ‘시장적응’, 주어진 재무자원을 가지고 소비수준을 달성하는 정도로서 소비충족성, 소비안정성을 나타내는 ‘금융적응’,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