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음악사 인식 기조와 기술(記述) 양상 분석-리차윤과 리히림의 논저를 중심으로-
... 구비전승을 특징으로 하는 민요를 비롯해서 기록이 취약한 기층음악에 대한 역사적 맥락을 유구하게 이어보려 한 점은 매우 긍정적이다. 또, 민요의 개념을 ‘노래’와 대등한 개념으로 확장하고, 고대 시가, 향가, 고려가요 및 기타 시가(詩歌)를 포함하여 가곡, 가사, 시조, 잡가, 판소리까지 도시가요, 참요, 풍요, 세태민요, 도시 서정가요, 노동민요, 직업민요 등으로 그 범주에서 실존과 의미를 부여한 점은 괄목할 만한 점이다. 둘째, 북한에서 기술된 음악사는 우리와는 사뭇 다른 사관에서 맥락을 꾀했지만 남한의 음악사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남한에서 쓰여진 음악사는 조선후기의 역동적인 사회 변화와 그에 조응한 민속 음악의 입체적인 동향을 충분히 담아내고 있지 못하다. 그에 비해 북한...
[학술논문] 북한문학사와 상고시가
...대단히 연역적이고 작위적이다. 상고시가 중 집단 노동이나 儀式을 반영한 <구지가>의 단계에서 개인 창작시가의 단계로 넘어가는 어름에 <두솔가>가 있고, 그로부터 한시와 향가를 중심으로 하는 개인 창작 시가들이 앞 시대에서 지속되어오던 집단 가요들과 공존하는 시대적 맥락을 형성했다. 원시사회가 무너지고 고대국가가 출현하던 시기부터 개인 서정가요들은 만들어졌고, 그 가운데 한역을 통해 기록으로 남아 있게 된 것이 <공후인>이다. 그들은 그 다음 단계인 삼국을 봉건국가로 규정했고, 첫 봉건국가를 고구려로 보았으며, 그 시기의 문학을 ‘중세문학’이라 했다. 이 시기 <황조가>를 비롯한 당대의 시가들을 통해 한자로 기록된 사실과 함께 ‘개별국가들을...
[학술논문] 북한의 1학년 ‘음악’ 및 ‘음악무용’ 교과서 내용 비교를 통한 교과서의 변화 양상 연구
...북한 교과서에 나타난 주요 변화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2002년 이후 북한의 ‘음악’ 및 ‘음악무용’교과서는 첫째, 오선악보의 사용(2002)에서 숫자악보의 사용(2007)이라는 새로운 시도 이후 오선악보와 숫자악보를 함께 사용(2013)하고 있고, 둘째, 교과서의 악곡은 10여 년 동안 송가의 비중이 낮아지고 서정가요의 비중이 현저하게 높아졌으며, 셋째, 노래활동이 주를 이루기는 하였지만 기악과 감상을 일부 포함하던 음악활동은 2007년 교과서에서는 기악활동이, 2013년 교과서에서는 기악과 감상활동이 완전히 사라지고 대신 무용활동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에 있어 통일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북한 음악교육의 변화 양상을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학위논문] 북한 서정가요의 주제와 음악분석
...
2000년대의 북한가요는 서정가요가 587곡으로 전체 곡 중에 93.9%를 차지하고 있다. 세부장르에서는 선전・선동가요가 크게 줄었는데 이는 1990년대 말 고난의 행군시기를 극복한 이후 풍속가요와 애정가요 등 서정가요의 비중이 상승한 결과로 추정된다. 음계는 장조계열이 많았고, 7음음계의 높은 비중은 계속 유지되었으며 박자에서도 4/4박자의 높은 비율이 지속되었다.
그리고 북한의 서정가요를 주제에 따라, 경치를 노래한 서정가요・전통민요를 수용한 서정가요・애정과 풍속을 노래한 서정가요・가극 속의 서정가요・수령 찬양 서정가요의 5가지로 구분하고, 각 분류별 대표곡들의 분석을 통해 주제에 따른 내용과 표현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경치를 노래한 서정가요의 서술방식은 자연 속의 경치에 대한 세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