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근 북한 학계의 고인돌 형식 연구 경향
... 오덕형, 묵방형,
석천산형, 제주형 등으로 나누었다. 침촌형은 판자돌을 가지고 무덤방을 축조하였으며 가장자리에 돌무지의 보강 시설이 있다. 이 형식은 판자돌의 재질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된다. 오덕형은 판자돌을 지상에 세워 만든 탁자식으로 문 시설을 기준으로 3가지로 나누었다. 묵방형은 막돌을 가지고 지하에 무덤방을 축조한 개석식이다. 문 시설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였는데 기존 연구와는 변천 과정에 있어 차이가 있다.
석천
산형은 무덤방이 토광으로 석천산 일대에서 주로 조사되었다. 제주형은 덮개돌 아래쪽의 가장자리를 돌아가면서 판자돌을 세워 무덤방을 만든 것으로 남부지역에서만 찾아지는 독특한 형식이다. 고인돌 형식간의 변천 관계에 대하여는 침촌형에서 오덕형과 묵방형이 분화되었고
석천
산형은 묵방형이 변화된 것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