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지역의 발해유적 발굴조사 현황과 과제
...및 과제를 살펴본 글이다. 북한의 발해유적은 198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발굴되기 시작했고, 이후 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을 거쳐 최근까지 간헐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발해유적 중 발굴조사 된 유적을 관방유적, 건축유적, 고분유적, 사찰유적, 생활유적 등으로 분류하여 조사현황을 살펴보았다. 우선 관방유적은 청해토성,
성령산성, 성상리토성 등이 발굴되었고, 건축유적으로는 금산1, 2건축지, 회문리ㆍ동흥리 24개돌 유적 등이 있다. 고분유적은 발굴된 유적의 수가 제일 많은데 함경북도 지역의 금성리고분군, 창덕고분군, 궁심고분군, 부거리일대 고분군, 창촌리고분 등과 함경남도의 평리고분군, 오매리고분군, 부상리고분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중 창촌리고분과 부상리고분군은 비교적최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