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단 상황의 체험과 그 극복으로서의 미래적 ‘환상’ — 이호철 「판문점」 다시 읽기 —
이 논문은 2018년 판문점에서의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판문점과 분단문제를 소설의 배경이자 주제로 삼았던 1961년 이호철의 「판문점」을 다시 읽기를 시도하는 글이다. 이 논문은 2018년 판문점에서의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판문점과 분단문제를 소설의 배경이자 주제로 삼았던 1961년 이호철의 「판문점」을 다시 읽기를 시도하는 글이다. 「판문점」은 이호철 작가의 판문점 방문의 주관적 체험을 진수라는 인물을 통해 객관화한 소설이다. 소설 「판문점」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어는 ‘이역감’이다. 이역감은 진수로 하여금 분단 상황을 외면하고 중산층적인(혹은 소시민적인) 삶의 안일함과 향락에 만족하는 남한사회에 대한 냉소적인 표현한다. 이역(異域)지대인 남한사회에서 경계인으로서의 자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