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군혁명시기 북한 문학예술 장르의 변용과 이동에 담긴 정치적 전략 - ‘시’의 ‘노래’화를 중심으로
...관통하는 정신은 여전히 집단주의적 획일성이라고 할 수 있다. 매체와 장르의
변화가 일시적인 흥미와 관심을 끌 수는 있지만, 선군시기 북한 청년들의 마음을 움직이거나 행동을
변화시키기는 어렵다. ‘고난의 행군’과 더불어 유입된 자본주의 시장경제체계의 영향으로 선군시기 북한 청년계층은 물질주의와 개인주의를 경험하게 되었고, 이것이 ‘인민성’에
변화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즉, ‘인민성’의
변화가 역으로 ‘당성’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북한 문학예술이 매체 및 장르의
변화와 더불어 ‘인민성’과 ‘당성’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반영해낼 수 있을 때, 그것은 진정한 소통의 창구로서 당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