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남북한 문학담론 기원 연구
...그들의 실천 방법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잡지 매체는 대중과 정치, 사회, 경제, 문화가 하나의 영역 안에 포괄된다. �문화세계�의 문예평론은 작가와 작품론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1949년 이후 남한의 문학 담론으로 자리 잡은
순수
문학을 잡지 전면에 내세우고 이를 통해
순수한
문학적 가치에 대한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1949년 이후 사회이념이 반공을기반으로 하였는데 �문화세계�는 전쟁기라는 혼란스러운 상황 안에서
순수
문학이앞으로 남한 문학의 주류가 될 것을 인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전선문학�은 한국전쟁기 기관지 역할을, �전시문학독본�은 반공교육을 위한 매체였지만 다양하게민중들과 소통해야 함을 인지하면서 좌담회, 작가와 군인, 신앙, 전쟁문학의 방향을 통해 반공뿐만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