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선사 관음보살좌상을 통해 본 18세기 서울지역으로의 불상 이운 배경: 북한산성 승영사찰 개창을 중심으로
...발견되었다. 관음보살좌상에서 나온 복장유물은 「조성원문」1매, 「중수원문」1매, 후령통 1개, 분철된 『묘법연화경』2매이다. 「조성원문」과 「중수원문」을 통해 이 보살좌상의 존명은 관음보살이며, 1670년에 조성되어 1733년에 진관사로 이운된 것을 알려주며, 불상을 조성했던 조각승은
승호를 포함한 5명임을 알려준다. 조각승
승호는 17세기 후반부터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대표적인 조각승으로 이 관음보살좌상의 조성은 현재까지 밝혀진
승호의 가장 이른 기년명 작품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관음보살좌상에서 발견된 이운 기록이 흥미로운 점은 불상의 조성과 이운을 통해 당시 18세기 조선 후기 불교계가 처한 상황이 잘 반영하기 때문이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그리고 그 전란의 복구 과정에서 증명된 승려집단의 조직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