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상품이미지에 나타난 제국주의적 대상성 연구 - 『조선상품 2018』을 중심으로 -
...있을 뿐 아니라;상품광고의 배경이나 카피를 통해 최고지도자의 업적과 민족주의적 내용을 반복해 노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품이미지를 다루는 산업미술 분야에 대한 김정은 위원장의 현지지도에 대한 보도가 과거 어느 때보다 집중되고 있는 것도 강성대국의 이데올로기가 상품의 이미지를 통해 재현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조선상품』에 실린 상품이미지를
시각
문화학자 W. J. T. 미첼이 제시한 제국주의적 이미지의 대상성의 틀로 분석해 보면;북한과 외부세계와의 소통가능성의 정도와 변화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다. 제국주의적 이미지의 세 가지 대상성으로 북한의 외부와의 소통을 분석하면 우상적 대상성은 소통의 난이성;페티시적 대상성은 소통의 용이함;그리고 토템적 대상성은 중립성으로 각 대응하여 설명할 수 있다. 『조선상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