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국1ㆍ2ㆍ3> 및 <청산별곡>과향토민요 아라리의 비교연구
...중기의 악보인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악곡을 분석하여 아리랑의 유래에 관한 논의를 조선 중기 이전이나 그보다 더 소급하여 고려시대로까지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대국1ㆍ2ㆍ3과 청산별곡의 후렴 ‘얄리얄리 얄라 얄라성 얄라’는 음운상의 변화를 거쳐 오늘날의 ‘아리아리’ㆍ‘아라리’ㆍ‘아라성’ 등으로 전승되고 있는 아리랑계 노래의 후렴이다. 둘째, 대국1ㆍ2ㆍ3과 청산별곡은 모두 아리랑계 악곡이며,
시용향악보는 아리랑의 악보를 싣고 있는 최초의 문헌이다. 셋째,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네 곡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