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ㆍ25전쟁시기 한국군의 식량보급 실태 - 다부동지역 전투를 중심으로 -
... 차단함으로써 군수보급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량을 청구하는 과정과 분배하는 과정에서 소요량에 비해 많이 청구하고 적게 분배하는 부정이 발생하여
식량
보급체계의 붕괴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주먹밥 등의 대용식량으로 변화 되었지만 여전히 전투현장에 있던 병사들은 굶주림과 배고품으로 시달려야 했다. 또한 부족한
식량
보급을 대체하기 위해 민간인과 학생들이 전투현장에 보급지원과 행정지원을 위해 동원되었다. 결국 다부동 전투에서
식량
보급은 군수보급체계의 미흡으로 인한
식량
보급의 혼란은 북한군의 교란과 양곡의 배급부정으로 나타나 전투원의 희생을 강요한 것이다. 즉 식량의 부족을 대신한 것은 전투원의 희생과 민간인의 동원이었고, 정상급식은 주먹밥이라는 변형보급으로 대체된 전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