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북시기 신고송 문학과 통일문학의 전망 2- 희곡 「근거지의 사람들」(『극문학』제1집, 작가동맹문학분과위원, 1963)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재북시기
신고송의 희곡 「근거지의 사람들」의 극적 특성과 의미를 통해 북한의 주체시대를 준비하는 초기 항일 혁명연극의 형태를 되짚어보았다. 먼저, 재북시기
신고송의 희곡 활동과 그 경향을 재북 초기와 중기로 나누어 꼼꼼히 살펴보았다. 재북초기는 카프의 프로연극 이론을 바탕으로 희곡창작과 연극 활동에 주력하였다. 재북 중기는 장막극 창작을 통해 노력 일꾼의 헌신적인 영웅화를 형상화하는 등 철저히 당의 노선에 따른 창작 양상을 보여 주었다. 다음으로 글쓴이는
신고송의 희곡 「근거지의 사람들」에서 나타난 극적 특성과 그 의미를 짚어 혁명연극의 됨됨이를 살펴보았다. 첫째, 7장의 구성으로 다장면 연출함으로써 필연적으로 항일혁명의 목적성을 극대화해 놓고 있다. 둘째, 두영이라는 늙은 빈농이 항일 영웅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