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 냉전기 북한의 군사도발 결정 매커니즘 고찰 -신고전적 현실주의 분석틀을 중심으로-
...변수 등 단일분석수준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각각의 분석수준에서 나름대로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공하고 있으나, 포괄적이고 균형 잡힌(Unbiased) 종합적 분석 및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탈냉전기 북한의 군사도발결정에 있어 동북아 체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북한의 특수한 국내정치적 요인이 함께 작용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신고전적 현실주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국제체계와 국내정치적 속성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군사도발결정에 대한 보다 정확한 매커니즘을 제공하고, 나아가 양자 간의 일정한 상관관계를 식별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종합분석을 바탕으로 군사도발을 저지하기 위해 한국정부가 고려해야 할 외교적·군사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학술논문] 신고전적 현실주의로 본 미국의 북한 테러지원국 해제 결정과정
...행정부는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을 삭제할 것을 공표했다. 부시 1기 행정부의 보수적이고 강압적인 대북 정책을 고려했을 때, 부시 대통령의 북한 테러지원국 해제 결정은 상당히 흥미롭게 다가온다. 본 연구는 정책결정 과정, 구조, 행위자들을 면밀히 살펴보면서, 부시 행정부의 행동에 대한 결정요인이 무엇이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신고전적 현실주의를 원용하여, 부시 행정부의 정치적 권력과 정책 결정자의 인식이라는 두 개의 변수를 통해 이 사례를 분석해 나갈 것이다. 이 연구에 따르면 첫째, 극소수의 정책결정자들로 구성된, 국지적(localized)이고 배타적인 정책결정 과정은 부시 행정부로 하여금 강한 정치적 권력을 갖도록 했으며, 둘째, 이러한 특수한 정책결정구조 속에서 크리스토퍼 힐(Christopher...
[학위논문] North Korea as a revisionist state : leaders' political psychology of nuclear provocations
...성취했음을 공표하며 미국과 대한민국에 대한 전면적인 평화공세를 전개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통해 김정은 정권은 미국의 선제공격 위협과 국제사회에서의 고립을 초래하는 등, 그 체제를 안전하게 하기보다 더 불안하게 만드는데도 불구하고 왜 지속적으로 핵무기를 개발하고 도발을 증가하는가이다.
본 논문은 이 의문을 풀기 위해 신고전적 현실주의(neoclassical realist) 접근을 채택하여 북한을 현상타파국가(revisionist state)로 이해한다. 북한의 지정학적 환경과 동북아시아에서의 힘의 분배가 핵개발 등 북한의 외교정책 행위를 설명하는데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함과 동시에, 본 논문은 북한 지도자의 심리와 국가정체성 인식 등을 매개설명변수로 설정하여 그들이...
[학위논문] 김정은 시기의 핵전략 변화 연구 -대외환경과 김정은의 선택-
...통해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고 미국과 외교관계를 정상화하고 유엔의 대북제재 해제를 통해 중국에 대한 과도한 경제의존도를 낮추는 것이다. 김정은 정권은 2기 트럼프 행정부와 핵담판을 하기 위해서 미국을 상대로는 이중억제 핵전략을 강화하면서 남북관계는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며 한국을 핵담판에서 제외시키려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신고전적 현실주의 관점에서 약소국인 김정은 정권이 대외환경 변화라는 국제체계 구조적 압력을 어떻게 인식하였고 내부의 핵·미사일 동원능력을 어떻게 활용하여 어떠한 핵전략을 추구하고 있는가를 분석했다. 김정은 정권은 이중억제 핵전략을 통해 향후 대외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핵전략을 전개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신고전적 현실주의 #미·중 관계 #북·미 관계 #재균형 전략 #중국몽 #확증보복 핵전략 #통합억제 #국제연대 #신냉전 #외적균형 #이중억제 핵전략 #Neoclassical realism #US-China relations #North Korea-US relations #rebalancing strategy #Chinese dream #assured retaliation nuclear strategy #integrated deterrence #international solidarity #new cold war #external balancing #dual deterrence nuclear strategy #소현철
[학술논문] 북한 외교사 서술에 대한 이론적 검토: 신고전적 현실주의를 중심으로
... 탈냉전, 2000년대 대미 강경정책과 핵실험, 2010년대 북미정상회담 등의 시대별 변곡점을 중심으로 국제체제의 영향과 국내적 동인의 상호기제를 확인해주는 것이다. 결국 북한의 외교는 국제체제와 국내의 변수들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전개되어 왔고, 따라서 이를 분석하는 프레임워크는 국제체제 변수를 중시하는 신현실주의(neorealism)나 국내수준의 변수를 강조하는 고전적 현실주의(classical realism)보다는 양자의 영향과 그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신고전적 현실주의가 적실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