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공화주의적 평화의 길: 국제 정치적, 한반도적 상상 또는 설계
...
신공화주의(neo-republicanism) 연구 프로그램의 규범적(normative) 이상인 타인의 자의적 권력에 종속되지 않은 상태로 정의되는 ‘
비지배(nondenomination) 로서의
자유’가 ‘
한반도
시공간 복합체’에서도 실현 가능한 기획인지를 묻는다. 즉, 일국적 차원의 정치 철학적 기획인
비지배
자유를 국제적,
한반도수준으로 확장하려는 시도다.
한반도
시공간 복합체에서의
비지배
자유를 ‘
비지배로서의
평화’, ‘
비지배의
시공간으로서의
한반도’로 번역하는 것이 이 글의 핵심 목적이다. 극단적 폭력으로 타자/타국을 지배하고자 하는 전쟁의 시대에, 최악의
한반도 사태인 핵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지배
평화, 비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