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함경도 퉁소 <신아우>와 <신방곡> 고찰 - 국립국악원 「민족유산DB」 소장 음원을 중심으로 -
...계기를 맞게 되었다. 한국에서 신아우와
신방곡은 모두 ‘시나위’의 별칭으로 이해되고 있는데, 이러한 사실과는 달리 국립국악원 소장음원자료 「민족유산DB」에서는 두 곡이 별개 음악으로 기록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러한 사실은 북한 발간 잡지 및 단행본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북한의 현지조사 보고서에 ‘신아우…
신방
곡의 련쇄곡’과 같은 새로운 연주관행과 ‘신아우 류파’라는 연주집단에 관한 구술 자료가 있어 그동안 규정되었던 ‘시나위’ 정의에 대한 재고 뿐 아니라 함경도 퉁소음악문화, 퉁소 신아우,
신방곡의 존재 의의 고찰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낳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