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체정치의 계보에서 보는 북한의 통치담론: 생명, 국가 그리고 정치적인 것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통치담론에서 자주 사용되어 오던 담론이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마르크스주의에서의 신체은유, 헤겔의 유기체론, 근대초극론에서 나타나는 교토학파의 신체론, 19세기 독일의 유기체설과 그 수용으로서의 메이지 시기의 국가유기체설, 동양의 전통적
신체정치 담론, 기독교를 경유한 신학적 삼위일체론 등과의 비교를 통해 북한의 통치담론을 역사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들 역사적 비교를 통해서 볼 때, 북한에서의 수령론과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이질적
신체정치 담론들을 수정, 변용하여 나름 효과적인 통치담론을 만들어 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생명 통치 담론의 사상사적 기원을 살펴봄으로써 그 특유의 사상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What is the meaning of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