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존재론적 안보론과 북미관계: 이론과 현상, 새롭게 보기
...‘변화’를 필요로 한다. 과연 어떤 조건이나 상황에서 그러한 변화가 가능하거나 혹은 더욱 용이해지는 것일까? 여기서 본고는 “정체성 서사의 특정 타자화 비중”이 핵심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제하고 이를 양자관계에 접목하여 총 세 개의 관계유형(relational types)을 도출한다. 북미관계는 해당 핵심변수에 따라 “
실존적
불안의 비대칭성”이 작동하는 유형에 속하며 나아가 북한은 현실주의와 구성주의 측면에서 “이중의 취약” 구조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preliminary foundation for theorising change in ontolog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