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북한 주민의 가정 생활: 국가의 기획과 국가로부터 독립
... 둘째, ‘무력한 가부장’과 ‘사회주의대가정’의 균열, 셋째, ‘생산-소비’의 연계와 새로운 물질문명의 유입, 넷째, 계층‧지역‧세대‧젠더 간 갈등과 격차, 다섯째, 역할 모델의 변화, 여섯째, ‘이악한 어머니’, ‘불편한 아버지’, ‘
심장인 딸’, ‘맹장인 아들’의 변주(變奏), 일곱째, 국가가부장 담론과 ‘어버이 수령-어머니 당’의 가정 내 투영 양상, 여덟째, 중국의 반(反)가족주의에서 재(再)가족화의 대북한 함의이다. 전체적인 분석 결과, 현 단계 북한의 가정생활은 국가의 기획과 국가로부터 독립하려는 흐름이 동시에 작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