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역사학의 민족주의적 특징과 고대사 인식체계
북한은 사적 유물론 이상으로
민족주의 역사학이 가지는 영향력이 지대하다. 1950~60년대에 북한은 사적 유물론과
민족
주의가 혼재된 양상으로 역사학이 발전하고, 1970~80년대에는 주체사상으로 인해서 김일성 혁명사가 강조되면서 상대적으로
민족주의 역사학이 약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다가 1990년대 단군릉 발굴을 계기고 북한의
민족주의 역사학은 대동강문화론을 중심으로 다시 한번 재기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의
민족주의 역사학(후기
민족주의 역사학)을 그 이전의
민족주의 역사학(전기
민족주의 역사학)과 비교하면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점을 대다수의 선행 연구에서는 북한의 고대사 연구가 정치화된 탓으로 비판은 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비판받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