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 여성과 분단 장치의 재구성: 동백림 사건에서 1994년 ‘안기부 프락치 사건’으로
...북한의 두 체제가 냉전을 수행 하던 방식인 재외 공간 ‘국민화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대상이 되었다. 셋째, 세계적인 차 원에서 냉전이 해체되던 1994년 베를린에서 발생한 ‘
안기부
프락치 백흥용
양심선언’ 은 남한사회의 분단장치를 유지해온 ‘간첩사건’이라는 블랙박스가 해체되는 의미 있는 과정이었다. 이것은 일상의 흑백구도에 균열을 일으키고 이념적 다원화의 토대가 되었 다. 넷째, 재독양심수후원회를 통한 한인여성들의 ‘백흥용
양심선언’ 지원활동은 오랜 서 독 시민사회에서의 활동, 광주항쟁을 계기로 한 반공주의에 대한 성찰, 독일 통일과 북한 방문 등을 통한 ‘분단 이후’에 대한 삶의 경험이 배경이었다.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