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중근연구의 현황과 쟁점
필자는 이 글에서 안중근에 대한 연구현황과 쟁점을 ‘안중근 관계 사료 현황’, ‘안중근의 생애와 활동, ‘안중근의 사상’, ‘안중근의거의 국제 정치적 배경․인식․안중근재판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안중근연구는 안중근의거와 순국 100주년을 전후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현재 230편이 넘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는 안중근이 한국사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얼마나 큰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증거이다. 하지만 안중근 관계 사료를 모두 모은 『안중근자료집』이 출간되지 않은 것이 안중근연구의 현실이다. 안중근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도 하루 빨리 『안중근자료집』이 간행되어야 한다. ‘안중근의 생애와 활동’은 가문적 배경, 천주교수용...
[학술논문] 한말 의병전쟁 연구와 기념사업의 현황과 과제
...발표되면서 의병 연구는 심화되었다. 2000년 이후 의병전쟁 연구는 주제가 다양화된 특징이 있다. 발표된 총 229편 중에서 인물 연구가 91편으로 가장 많다. 다음이 의진과 지역이 45편, 의병 탄압이 25편, 의병 참여층이 14편이다. 인물 연구 91편 중에서 사상과 문학을 다룬 글이 33편에 달한다. 이는 의병의 활동만이 아니라 의병에 참여한 인물들의 내면세계를 성찰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인물 중에서는 유인석이 가장 많고 다음이 최익현, 이강년, 안중근, 이소응, 임병찬 등이다. 인물의 활동 지역별로 보면충북이 가장 많고, 전북, 충남, 강원, 경북, 북한, 전남, 경기 지역의 순이다. 지역 의진에 대한 연구도 여전히 주요 주제였다. 지역별로 보면 충남지역연구가 가장 많고, 다음은 충북, 강원, 경기, 전남북...
[학술논문] 『꽃 파는 처녀』의 신파성과 대중성 그리고 상호텍스트성
...처녀』는 이른바 ‘불후의 고전적 명작’으로 통하는 작품이다. ‘불후의 고전적 명작’은 북한식 문학예술의 한 범주로 연극과 가사 등 김일성 및 김정일의 창작과 지도로 만들어진 ‘항일무장투쟁기’의 혁명예술들을 가리킨다. 불후의 고전적 명작으로는 『피바다』・『한 자위단원의 운명』・『성황당』・『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꽃 파는 처녀』 등이 있다. 이들 작품은 대개 연극과 혁명가극(북한식 오페라)은 물론 영화와 소설로 제작되는 등 대부분 장르적 변용과 확장이 이루어졌다. 『꽃 파는 처녀』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가극과 영화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1977년 4・15창작단에 의해 장편소설로 만들어진 소설 텍스트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시도되지...
[학위논문] 안중근 평화프로세스의 모형정립과 적용에 관한 연구 : 동북아 평화와 한반도 통일문제를 중심으로
.
[학술논문] 1970년대 남북한 영화 속 안중근 재현 양상 비교 연구: <의사 안중근>,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를 중심으로
...같은 주체 문예이론의 체계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안중근을 재현한 영화가 남북한에서 각각 제작되었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동일한 인물을 재현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남북한의 작품들에서 상이한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의사 안중근>에는 유신 체제가 수립되면서 강화된 민족 총화의 강조가 애국애족 정신을 가진 의병들을 통해 국난 극복의 길이 ‘오직 우리 자신의 힘’에 있음을 묘사하면서 국민의 총화 된 단결을 통해 나타나고 있으며,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는 김일성 유일체제의 구축 과정에서 안중근의 의거가 미완의 투쟁으로 규정된 까닭을 이른바 올바른 지도 사상이 부재했다는 관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하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