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녹족부인 서사의 ‘기아(棄兒)’ 모티프 연구
본고는 북한 녹족부인(鹿足婦人) 서사에 나타난 ‘기아(棄兒)’ 모티프를 고찰하여 북한 사회의 이념 체계 속에 수용된 녹족부인 서사의 존재 양 상과 의미를 확인하다. 북한의 녹족부인 서사는 기아의 원인과 과정, 그리고 결과에 있어 특징적인 존재 양상을 보여준다. 첫째, 북한 녹족부인 이야기는 ‘위한 어머니’로서의 신격(神格)을 갖추어야 할 녹족부인의 존재적 위상을 일상 속의 범속한 여인으로 격하시키고, 웅의 자기 실현 과정이라는 의미망에 놓여 있어야 할 아들들의 버려짐을 계급투쟁의 이념으로 논리화함으로써 녹족부인 서사의 본질인 신화적 원형성을 도외시하고 있다. 둘째, 녹족부인의 아들들이 ‘상자’에 담겨 버려지는 것은 웅으로의 재생을 위한 입사의례의...
[학술논문] 중국 조선족 大衆歌謠 가사에 나타난 어머니像 연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이후를 중심으로
...전반에 많은 영향들을 끼쳤고, 이러한 현실적인 상황들이 대중가요에서 표현되기도 한다. 각 시기별로 조선족 대중가요의 어머니 관련 가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광복 이후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의 조선족 대중가요 가사는 크게 두 가지의 흐름을 보이고 있다. 첫째는 모성으로서의 어머니이고, 둘째는 중국 사회주의 체제에 협조하는 어머니이다. 1970년대 후반을 넘어서 1980년대에 들어서게 되면, 중국 조선족 대중문화 가사에서 사회주의 공산당 체제를 옹호하거나 전쟁참여를 유도하는 듯한 이데올로기적 어머니상은 점차 줄어들기 시작한다. 1970년대까지는 여전히 당정책을 위한 선도적인 입장을 표현하는 어머니 가사가 나타나는데, 그 까닭은 중국 조선족도 새로운 당 정책의 영향 하에 문화가 막 정착되며 안정화되었고 자기들의...
[학술논문] 드론과 로봇 등 자율무기의 국제법적 적법성
...로봇(Lethal Autonomous Robotics: LARs), 즉 “살인자 로봇(killer robots)”이나 사실 상 공간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자율 무인항공기, 무인함정, 무인잠수함 등의 다양한 드론과 같은, 자율무기(autonomous weapon)에 대한 국제법적 적법성 판단과 허용원칙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류의 일상생활에 편리함, 안전, 풍요로움을 가져왔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심각한 재앙의 결과, 나아가 인류공멸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학기술의 양면성(兩面性)은 자율무기의 이익, 즉 “로봇이 전사하면 그 어머니한테 편지를 쓰지 않아도 된다.”는 미 해군 상사의 말이나 북한군이 DMZ에 몰래 매설한 지뢰의 위험 속에 혹한기에 긴 철책을...
[학술논문] 무연고 북한이탈청소년의 부모 상실에 따른 남한사회 적응의 어려움과 극복과정
... 남한에 거주한지 1년이 넘은 16-21세 무연고 북한이탈청소년 10명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결과, 무연고 북한이탈청소년이 겪은 아버지 상실은 모두 명확한 상실이었으며, 어머니 상실은 명확한 상실, 모호한 상실, 비 상실로 구분되었다. 이들은 남한에서 기숙사로 한정된 공간, 사회적 관계 형성, 타인에 대한 불신감, 가족 부양 부담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으며, 어머니 상실 유형에 따라 남한에서 겪는 어려움의 양상이 상이하였다. 경제적 지원, 대안 학교 교사와 교회 사람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어머니 상실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가족을 재구성하며 남한사회에 적응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무연고 북한이탈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의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 제언하였다...
[학위논문] 북한 서정가요의 주제와 음악분석
...지도자는 태양으로 은유되어 온 세상을 밝혀주며, 민족을 위해 고난을 극복하고 승리하는 영웅으로서 묘사될 때는 민족적 상징인 백두산이 동반되어 표현된다. 또한 수령 찬양가요 속의 지도자는 아버지로 호칭되어 유교적 효의 대상이며, 비참한 자신의 인생을 구해주거나 풍년을 가져다 준 은인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김정일 집권기 이후 형상화되는 지도자상은 그립고 정다운 연인이거나 어머니가 되기도 한다.
북한 서정가요에 대한 악곡 분석을 시행하기 위하여 북한의 가요 146곡을 선별하였고, 분석을 위한 다양한 항목을 설정하여 음악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항목은 악곡의 구조적 특징・선율적 특징・화성적 특징・전통리듬의 사용양상 등 4가지 항목이며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적 특징으로는 북한가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