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송영 극작술의 변곡점과 관통선 - 천리마시대의 문학과 <박연암>의 징후적 독해 -
...평단으로부터 외면받은 작품이었다는 점에 착목하여, 박연암에 내재된 불화의 흔적을 살피고자 했다. 송영은 도식주의를 경계하는 가운데, 생활에 근거한 인물의 성격 발전을 보여 줘야 한다는 점을 창작의 근본 원리로 삼았던 작가였다. 그에게 최고의 영예를 안겨주었던 항일혁명극은 도식주의의 문제를 벗어나지 못했으며, 한계를 자각한 그가 택했던 방법은
역사극의 양식과 더불어 ‘글쓰기’에 대한 자의식을 형상화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공인된 역사적 위인의 권위를 안전판으로 삼아 당대의 북한 문예담론에 대해 간접적으로 발화하는 방식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 불온성은 희곡에서만 보존될 수 있었으며, 공연은 마지막 막의 상당량이 삭제된 상태로 종결될 수밖에 없었던 바, 송영의 의도 또한 완전히 빗나가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