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백두산의 중국화’ 전략
...위해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게다가 “백두산 =만주족의 발상지”라는 논리를 주창하고 그것을 확산시키기 위해 전문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만주족의 조상을 모신 사당(청조사)을 세워 국내외 관광객에게 백두산이 만주족의 뿌리임을 각인시키고 있다. 그리고 백두산사당(장백산신사)을 세워 청대 황제들의 백두산 제사행위를 재현해 백두산에 대한 중국의 민족적·문화적 연고권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고 있다. 결국 ‘백두산의 중국화’를 위한 중국의 전략적 조치들은, 남북한의 백두산 성산인식을 부정하고, 백두산과 한반도의 역사적·문화적 연관성을 단절시켜, 백두산에 대한 중국의역사적·문화적·민족적 귀속권을 강화시키려는 것이다.
[학술논문] 한나라 군사작전으로 본 위만조선 왕험성 위치 고찰: 북한급변사태 시 중국의 연고권 개입 명분에 대한 함의
한나라와 위만조선의 전쟁에서 한나라 원정군의 공략목표가 현 한반도 평양이었는지 여부는 역사 논쟁을 넘어 동북공정과 북한급변사태라는 논리구조 속에서 현대 안보문제로 직결된다. 본고는 왕험성재평양설을 제로베이스에 놓고 한나라 군사작전을 합동작전의 합리성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여 왕험성 위치 비정의 논리적 근거를 군사학과 역사지리학의 융합적 접근법으로 도출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사기』 「조선열전」에 구체적으로 기술된 한나라 육군과 수군의 작전계획과 실행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결과 공격목표가 한반도 평양이었다고 보기에는 많은 논리적 모순이 존재하였다. 본고의 핵심 논거는 첫째, 한나라 수륙합동군의 전투서열을 분석할 때 주공 육군에 대한 조공 수군의 작전 동시성을 담보할 수 없는 육군의 원거리 기동은 이치에 맞지
[학위논문] 북한 흡수통합에 대비한 토지 소유권의 귀속과 분배에 관한 입법적 대응방안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몰수토지의 처리는 북한주민들이 단기간 내에 자신들의 기초자산을 형성축적하게 함으로써 생활안정을 도모하는 방향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셋째, 몰수토지문제를 최종적으로 마무리함에 있어서 북한주민 스스로 연고가 있는 토지구입에 대해 우선권을 가질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즉 북한주민의 연고권을 존중하는 입장에서 단기적으로는 특별법에 의하여 규율되는 용익권을 설정해 주고, 장기적으로는 사회경제적 사정을 고려하여 사소유권의 대상으로 하여야 한. 그 완충기간 동안 북한 주민은 새로운 경제질서로서의 시장경제에 적응하는 기회를 가지게 될 것이다.
넷째, 국토종합개발계획을 고려하여 도로철도 등의 사회간접자본의 경우와 도시개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