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감정 세계를 사상감정 경험을 중심으로 논한다. 제6장은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영어 리포트라는 주제에 대해 논한다.
본 총서의 여섯 편의 연구는 서로 다른 분석 주제로 출발하지만, 모두 북한 주민들의 일상을 담고 있다. 조직화된 삶 속에 내재화된 통제와 불안정한 변혁 가능성 사이에서 주민들은 몸과 마음을 지키며 살아가고 있다. 이 책은 단지 북한 체제를 이해하기 위한 교과서적 지식이 아니라 냉엄한 통제와 제도 뒤편에 놓인 북한 주민들의 일상을 되살려낸다. 또한 미시적 관찰과 거시적 맥락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북한 주민들의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토대를 세우고 있다. 이는 단순한 낙관이나 비관적 관점이 아닌 북한 주민들의 일상 경험을 미래 예측의 출발점으로 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발간사 中)
[지리/관광]
...말로는 부족하리만치 매우 다양하고 역동적이며 흥미로운 기후 현상이 나타납니다. 남과 북만이 아니라 동해안과 서해안이 다르고, 산맥 이편과 저편의 기후가 확연히 달라서 종종 딴세상이 펼쳐지기도 합니다. 이 책을 통해 교양있는 독자들은 우리 지리 전반에 관해 그동안 무관심했음을 깨닫게 됩니다. 지역지리학[Regional Geography]의 관점에서 북한 지역을 조사하고 연구하여 집필한 책입니다. 그동안의 북한 관련 책이 평양 중심이었던 것과는 다르게, 이 책은 북한의 지방을 담고 있습니다. 신의주시, 중강군, 삼지연시, 김책시, 신포시, 해주시, 과일군, 순천시, 세포군, 고성군 등 북한의 동서남북 다양한 지방 15곳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실체로서의 북한의 지역에 성큼 다가갑니다. 다권본 기획이지만,...
[지리/관광]
...다양하고 역동적이며 흥미로운 기후 현상이 나타납니다. 남과 북만이 아니라 동해안과 서해안이 다르고, 산맥 이편과 저편의 기후가 확연히 달라서 종종 딴세상이 펼쳐지기도 합니다. 이 책을 통해 교양있는 독자들은 우리 지리 전반에 관해 그동안 무관심했음을 깨닫게 됩니다.
지역지리학[Regional Geography]의 관점에서 북한 지역을 조사하고 연구하여 집필한 책입니다. 그동안의 북한 관련 책이 평양 중심이었던 것과는 다르게, 이 책은 북한의 지방을 담고 있습니다. 신의주시, 중강군, 삼지연시, 김책시, 신포시, 해주시, 과일군, 순천시, 세포군, 고성군 등 북한의 동서남북 다양한 지방 15곳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실체로서의 북한의 지역에 성큼 다가갑니다. 다권본 기획이지만,...
[사회/문화]
...평등론, 정의 전쟁론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7장. 고전적 사회계약론
사회계약론은 근대 정치철학에 큰 영향력을 미친 사상가들로 언급되는 토머스 홉스, 존 로크, 장-자크 루소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존 로스, 로버트 노직에 의해 새롭게 전개되어 왔다. 사회계약론은 논리적 전개와 구체적인 내용의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정치제도와 국가의 정당성의 기반으로 계약적 구도를 선택함으로써 자유롭고 평등한 개인의 권리의 우선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해 왔다.
이 장에서는 고전적 사회계약론 전통을 대변하는 홉스와 로크,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둘러싼 논의들을 검토하고, 사회계약론에 대한 비판과 시사점, 현대적 의의 등에 대해 살펴본다.
[통일/남북관계]
...고수했다. 1964년 “평양선언”을 통해 소련의 원조를 비판하고 자력갱생에 의한 자립적 민족경제 건설을 주창했다. 논문은 북한의 경험을 바탕으로 경제원조의 제공자와 수용자 간 관점 차이를 강조한다.
김서경은 1967년 전후 김일성이 유일 지배 체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정치와 교육이 어떤 역학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한다. 1967년을 기점으로 교육 정책 및 교육 내용의 변화점 분석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유일 지배 체제를 공고화하기 위해 교육을 활용했는지 연구했다. 더불어 갈등 이론에 의거하여 공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집단적 기억, 사회적 신념, 집단 정서를 형성하여 갈등 문화를 강화하고 재생산하는 방법으로 유일 지배 체제를 이질 없이 받아들였다는 관계가...
[학술논문] 러시아내 전문가들의 한반도 안보문제 인식과 함의
이 글의 목적은 한반도 관련 문제에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해야 할 러시아내전문가들의 연구내용과 주장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대한 특성과 의미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인식의 차이를 서로 줄일 방안을 모색하여 양국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토록 하는 데 있다. 러시아 싱크탱크들의 한반도 관련 종합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상당수 전문가들은 한․러 관계 발전이 미래 러시아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가 크고 외교안보 분야에서의 전략적 관계 심화가 한국에게는 통일 지지 세력으로, 러시아에게는 극동발전과 동북아내 영향력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한국주도 평화통일이 국익 관점에서 러시아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는 등한국에 대한 우호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부 러시아 전문가들의...
[학술논문] 화법교육의 연구 현황과 전망
Our discussion about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henceforth abbreviated as SCE) has been ongo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mmunication theory. Heated debates are frequently observ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ivil democracy and the spread of mass media such as radio, TV and movies. Research may start with microanalysis and ends with macroanalysis, or vice versa. The definition of SCE became
[학술논문] 남북한 노동시장 통합정책에 대한 연구
본 연구는 성공적인 남북한 노동시장 통합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지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 분석틀을 제시한 후, 북한 노동시장과 독일 통일사례에대한 분석을 토대로 남북한 노동시장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 필요한 변수들을 추출해서 상호관계에 대해모델링을 한다. 이어서 모델링의 결과물을 토대로 성공적인 남북한 노동시장 통합을 위해 필요한 정책의세부적인 내용을 분석한다. 이 분야의 기존 연구들이 주로 노동시장 통합에 필요한 세부 프로그램을 어떻게 설계해야 할 것인지에 초점을 두었던 것에서 벗어나, 관점과 분석수준을 다양화하여 세부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한다.
[학술논문] 1960년대 재일조선인 미술가들의북한 귀국 양상과 의미-조양규의 사례를 중심으로-
...후반에 이르면 이 작가의 작품과 글, 더 나아가 이름조차 북한의 미술매체에서 사라진다. 그 이유를 우리는 그가 북한에서 발표한 작품과 비평텍스트의 내용을 통해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당시 그는 과거 일본에서 자신의 작업을 지탱하던 비판적 리얼리스트의 관점으로 북한을 바라봤다. 즉 그는 주어진 현실 속에서 자신이 느낀 생활적 진실함을 표현하고자 했다. 조양규의 관점에서 만약 사회주의리얼리즘의 가르침에 따라 화가가 ‘자연의 아름다운 정서’를 나타내야 한다면 그 아름다운 정서는 화가가 직접 체험하고 그에 적합한 스찔을 부여하기 위해 자유롭게 연구하고 노력한 결과여야 했던 것이다. 하지만 1960년대 후반의 북한미술계는 이미 “조선화를 토대로 하여 미술을 발전시켜야 한다”(김일성)로...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문학독본과 문학교육 ― 한국전쟁기 독본 연구 2
두루 알다시피 문학독본은 과거와 현재의 대표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문학독본은 정전 형성 논리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한 매체 가운데 하나다. 편집자의 이념적 성향과 문학적 관점, 이를 뒷받침하는 문학사회의 이데올로기, 사회 정치적 상황, 출판 매체자본과 교육제도 등에 따라 수록 작가와 내용 구성에서 일정한 차이를 노정한다. 이 글은 한국전쟁기에 발간된 19종의 문학독본의 성격과 특성을 개관하고, 『조선현대시선』을 중심으로 문학독본의 특이성과 문학교육의 관련성을 해명하고자 했다. 한국전쟁기 문학독본은 학교현장에서 국어과 부독본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발간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특정 이념이나 지식을 알기 쉽게 전달할 목적으로 출간되었다. 하지만 교과서에 비해 애국주의와 국가주의적 시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