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북한 대내매체에 러시아어 코너 등장…북러 밀착 또 과시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북한이 대내 매체에 러시아어 서비스를 개시해 북러 밀착 관계를 다시 한번 과시했다.
28일 북한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 사이트에는 기존에 있던 영어, 중국어 코너에 더해 러시아어 항목이 새로 추가됐다. 민주조선은 최근 사이트 주소를 일부 변경하고 홈페이지 개편을 하면서 이 같은 조처를 한 것으로 보인다.
[뉴스] 북, ‘조선관광’ 책자로 중국서 관광지 홍보
앵커: 북한 당국이 중국에서 북한관광 홍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조선관광’ 책자는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영어와 중국어로도 발간됐습니다. 관련 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뉴스] 북한 "고아원 유치원생도 영어 조기교육…지적 발전 큰 도움"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북한이 애육원(고아원) 소속 유치원생들에게 영어 조기교육을 한다고 선전하고 있다.
9일 북한의 대외선전용 월간지 '금수강산' 6월호는 외국어 조기교육이 원아들의 성장을 돕고 있다면서 평양애육원의 사례를 소개했다.
[뉴스] 北 여행가이드 "노동당의 음악과 책을 사랑한다"... 유창한 영어 실력 눈길
6년 만에 열린 ‘평양 국제마라톤 대회’에 참가한 해외 참가자들이 공개한 영상에서 북한 관광 가이드들의 유창한 영어 실력이 포착돼 눈길을 끌고 있다.
235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영국인 유튜버 해리 재거드(Harry Jaggard)는 지난 14일 평양 단체 관광을 하면서 수시로 북한 가이드에게 궁금한 것을 물어보는 장면이 담긴 영상을 올렸다.
[뉴스] 탈북 청년들, 캐나다 4개 도시 8개 대학서 북한 인권 실상 증언
탈북 청년들이 최근 캐나다 4개 도시를 돌며 북한 인권을 주제로 특강을 실시했습니다. 유창한 영어로 캐나다 대학생들과 직접 소통하며 북한 상황을 알렸습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사회/문화]
...주민들의 삶이 나아질 수 있을까?’라는 근본적 질문으로 시작한다. 제3장에서는 북한 체제에서 사회안전성의 역할과 반사·비사 투쟁법 제정이 주는 의미에 대해 논한다. 제4장은 북한의 비공식 기업과 군사문화라는 주제를 탐구했다. 제5장에서는 북한 주민의 일상 속 감정 세계를 사상감정 경험을 중심으로 논한다. 제6장은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영어 리포트라는 주제에 대해 논한다.
본 총서의 여섯 편의 연구는 서로 다른 분석 주제로 출발하지만, 모두 북한 주민들의 일상을 담고 있다. 조직화된 삶 속에 내재화된 통제와 불안정한 변혁 가능성 사이에서 주민들은 몸과 마음을 지키며 살아가고 있다. 이 책은 단지 북한 체제를 이해하기 위한 교과서적 지식이 아니라 냉엄한 통제와 제도 뒤편에 놓인 북한...
[통일/남북관계]
...일어날 것이 뻔하므로 그것을 기필코 막아 보려 애를 쓰고, 결국은 전쟁이 터지고 말자 중립화를 통해 분단을 해소하고 통일을 이루기 위해 미국 내에서 평생을 바친 선각자이다.
구한말 이래 한반도의 영세중립을 한번쯤 주장한 정치인이나 지식인들이 더러 있기도 하지만, 30년을 끊임없이 전 인생을 바쳐 노력해 온 사람은 없다. 선생이 재력이 크고 영어가 최고 수준이었다지만, 미국과 국제사회에 조국인 한반도와 한민족을 알리기 위해 무려 18년간이나 스스로 글을 쓰고 자기 돈을 들여 만든 Voice of Korea 지를 보는 일은 경탄 그 자체이다.
오늘날이라면 미국 내 한국 대사관과 문화원 직원이 모두 덤벼도 버거울 일을 홀로 수행해 온 일 당 백의 외교관이라 할 인물인데도, 미국에서 분단문제...
[정치/군사]
...달래고, 한반도 비핵화와 핵 없는 세상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24년 6월 7~8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개최된 원폭국제민중법정 제2차 국제토론회 자료집이 발간되었다. 유럽과 미국,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전 세계의 저명한 국제법 학자와 법률가, 반핵·군축 연구자들이 발표와 토론을 맡았으며, 발표문과 토론문은 각각 한국어, 영어, 일본어 세 가지 언어로 번역되었다.
2023년 6월 한국 성주에서 개최된 1차 토론회가 1945년 기준 조약국제법에 의해서든 관습국제법에 의해서든 핵무기 투하가 반인도적일 뿐만 아니라 불법이라는 사실을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면, 2차 토론회는 한 걸음 더 나아가 핵무기 사용과 위협을 불법으로 단죄할 수 있는 법리를 확립하는...
[정치/군사]
「사진으로 보는 6·25 한국전쟁」은 인류의 자유와 생명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한 기록을 담은 책입니다.
한글과 영어로 된 6·25 한국전쟁을 완벽하게 다룬 책입니다. 6·25 한국전쟁을 자세히 읽다보면, 영어로도 세계사적인 의미에서 6·25 한국전쟁을 이해하게 됩니다. 6·25 한국전쟁을 읽다보면 영어 공부에도 크게 도움이 됩니다.
사진을 위주로 저술한 책으로, 역사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6·25 한국전쟁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지름길을 안내합니다.
[법/인권]
...범죄(민간인 학살, 납치, 포로억류)와 인권 문제를 다루고 있다.
2. 주요 전쟁 범죄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사진과 기사자료를 제시하고 출처를 명시하여 역사적 사실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자 했다.
3. “육전에서 군대 부상자 및 병자의 상태 개선에 관한 제네바 협약”과 “포로의 대우에 관한 제네바 협약”, “전시 민간인 보호에 관한 제네바 협약” 그리고 “세계 인권 선언”을 부록으로 수록하였다.
4. 한글판과 영문판 합본으로 앞에서부터는 한글로, 뒤에서부터는 영어로 작성한 리버서블 북(reversible book) 형태의 양방향 책으로 인쇄하였다.
[학술논문] 북한 초・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변화 방향
...수학과 사회주의 도덕 그리고 초급중학교 1학년 조선력사 교과서의 단원편성과 내용구성 방식을 이전 교과서들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초・중등교육 전체에서 지도자 관련 과목과 수업시수를 늘려 3대 세습으로 이어지는 지도자 체제를 강화하고, 초급중학교 단계에서는 물리, 화학 등의 과학교과들을 자연과학으로 통합하는 가운데 수업시수를 늘려 과학교육을 강조하며, 영어 교과 수업시수 확대, 교과내용에서 이념적 표현 축소, 사실 중심의 역사 교육 강조, 국제공용어 사용 등으로 국제교류를 의식한 실리를 추구하고, 법 관련 교과를 통해 ‘법’에 의한 사회질서 유지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교과서에 삽화와 그림 비중을 확대하면서 생활 속의 재미있는 학습을 강조하는 등으로 북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정책이 변화하고...
[학술논문] Rezeption und Umformung des westlichen Nationsbegriffes in Korea
...극복하기위한 위로부터의 개혁 시도들이 있었다. ‘부국강병’, ‘문명개화’의 슬로건 하에 한국의 엘리트들, 즉 개화파 지식인들은 일본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근대국가 및 근대사회의 수립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서양의 국민 및 민족개념은 이러한 맥락에서 수용되었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이미 1860/70년대에 동아시아에서 영어의 'nation' 개념을 최초로 ‘國民’으로 번역하였다. 그는 ‘people'과 'nation'을 ‘國民’으로, 또 'nation'을 ‘國家’로 번역하면서 서양의 근대 ‘민족/국민’ 개념과 흡사하게 ‘people'...
[학술논문] 남북한 간호학용어의 비교분석
...만들고 남한의 기본간호학 및 임상간호학 교과서에서 이에 해당하는 남한 용어를 찾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의 편의상 영어 용어를 참고로 기재하였다. 남북한 간호용어의 비교 분석은 ‘한자어로 된 간호용어’, ‘순 우리말로 된 간호용어’, ‘외래어로 사용된 간호용어’, ‘서울말과 평양말의 차이로 달라진 간호용어’, ‘북한간호학의 특이성을 반영한 간호용어’의 여섯 가지 특성으로 분류되었다. 하지만 분단 이후 남북한이 모두 일본어 잔재를 몰아내려는 노력으로 남한은 ‘영어식 외래어’를, 북한은 ‘러시아식 외래어’를 도입하여 남북한 용어의 이질감이 고취되는 결과를...
[학술논문] 정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북한이탈청소년의 영어학습 실태연구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reported that there were 385 North Korean refugee youth at high school level (NKRHS) in April 2013 in South Korea. Their experience in the South Korean high school setting could provide valuable input for preparing the educational field during and after reunification. Despite this,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about their learning experience. The main purpose of
[학술논문] 유럽에서의 한국학 연구 동향 및 방향 - 중ㆍ동유럽에서의 한국학 연구(CEESOK)를 중심으로 -
...연구에서 벗어나 경계와 분야를 넘나들면서 한국학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고전문학과 문사철 중심의 인문학 연구 풍토에서 벗어나 북한과 정치, 경제, 사회, 예술, 문화, 종교, 역사, 생활 등을 한국학 연구 대상으로 삼아 전방위적 관심을 표하고 있다. 이 중 한국문학(고전, 현대문학) 번역의 경우, 중․동유럽 한국학 연구자들이 영어권과 달리 수준 높은 자국어 번역을 이뤄내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학에 대한 관심 재고와 관련해 ‘선어학->후문학’이라는 전통적 접근방식에서 탈피해 ‘선문학->후어학’의 분위기를 고취시키고 있는 것도 고무적이다. 러시아를 포함한 중동유럽 지역에서 오랫동안 행해온 텍스트 분석과 작품 연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