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기 군경에 의한 민간인 학살의 지역별 현황과 양상- 1기 진실화해위원회 조사 보고서를 중심으로 -
...강원, 충남지역은 부역혐의자 학살사건 수치가 높게 확인된다. 이 지역들은 전쟁 발발 초기 북한군에게 점령되었기 때문에 국민보도연맹원 및
예비검속자 학살 사건이 상대적으로 적고, 9.28 서울 수복 이후 군경이 비교적 빠르게 장악했기 때문에 부역혐의자 학살사건이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충북, 경북, 경남, 제주 지역은국민보도연맹원 및
예비검속자 학살사건이 많이 발생한 지역이다. 충북지역은 우익성향이 강했기 때문에 국민보도연맹원들의 피해가 컸고, 경북, 경남 동부지역, 제주지역은 북한군 점령이 늦거나 점령되지 않았던 지역이었기 때문에 국민보도연맹원 및
예비
검속자들을 학살할 수 있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었다. 경남 서부지역, 전북, 전남지역은 군경의 토벌작전 및 기타 사건으로 인한 피해가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