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지정·운영하며, 추가로 4개 대학을 모집하여 대학생의 통일인식을 높이는 프로그램을 진행.
-지역별 맞춤형 교육: 지역 특성을 반영한 현장체험형 교육 및 지역통일교육센터 운영을 통해 도민과 북한이탈주민을 포함한 다양한 대상에게 평화통일교육 제공.
-문화·예술 활용: 연극, 공연 등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평화통일 공감대를 형성하고, 평화통일 동아리 활동 지원 등 신규 사업 추진.
-청년 리더 육성: 국내외 평화통일 현장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들의 통일 역량 강화 및 핵심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도서 PDF 받기:_
[사회/문화]
...형성되었는지, 어떤 사상을 담고 있는지, 그 가치를 어떻게 인정받고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 스토리 라인
이 책은 폐쇄된 북한사회의 전체상을 시각예술이라는 문화적 코드에 맞춰 펼쳐 보인, 일종의 미술 사회학 서적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북한은 날로 변화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도 부동을 고수하고 있다. 또 최근 몇 년에 걸쳐 예술 활동에 활기를 부여했음에도 그 단편적인 행모만을 일방적으로 전할 뿐, 전모를 파악할 만한 전면적인 개방은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저자는 남북한 양쪽의 정황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북한의 현대사를 서술하고 있으며, 이 바탕 위에서 북한의 예술사를 개설하고 있다. 또 이러한 서술들은 국가 이데올로기에 따른 예술의 기능이, 중국, 소련과...
[학술논문] 남한 예술 활동 참여가 북한이탈주민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남북청년합창단의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방법으로 그 동안 수차례 지적되어 왔던 다문화 정책에서사회적 결속력 결여 문제의 대안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소 성공적으로북한이탈 청년과 남한 청년들의 예술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는 남북청년 합창단을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014년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참여관찰을 실시하였고, 단체 내에서 선정된 주요 참여 대상자 10명을 중심으로 합창활동이 그들의 정서적 정착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적 정착이 일어나는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예술 단체의 구성원과 리더의 역할이 정서적 정착을 높이는 데에 의미가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먼저 예술 활동이 정서적 정착에 끼치는 영향 첫째는, 합창활동을 통한 소속감과 결속력 생성, 두 번째는 관계 중심적인 단체의 성격으로 인한 신뢰감과 친밀감 형성, 마지막으로...
[학술논문] 북한의 화선(火線)음악 - 6.25전쟁기를 중심으로 -
...특히 이들은 거문고와 나팔, 가야금과 같은 악기를 손수 제작하여 연주에 사용하였으며, 전쟁기간 중인 1953년 5월에 있었던 군무자예술축전(軍務者藝術祝典)에 참가하여 위용을 뽐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인민군대의 화선악기(火線樂器)에 대한 서술은 전쟁 이후 점차 확대되어 체제선전에 이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즉, 김정일(金正日)을 군사지도자로 만들기 위해 화선예술활동의 이름을 부여하였으며,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기에 화선음악을 소환하여 전쟁과 같은 고난의 행군 시기도 화선예술을 통해 충성심과 투쟁정신, 혁명적 낙관주의로 무장시키고자 하였다. 김정일 사후 김정은(金正恩) 계승 이후 북한의 대표적인 악단인 모란봉악단(牡丹峰樂團)은 2012년과 2013년 연이어 화선공연(火線公演)을 진행하였다. 김정은 시대의 화선공연이라는...
[학술논문] 재북 시기 리태준의 문필 활동 실증
...있을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 발굴해 새로 소개한 22편의 문필 활동은 북한의 핵심 일간 신문인 『로동신문』과 『민주조선』에 실린 것이 중심이다. 평론 ․ 정론(토론문 포함) ․ 수필(기행문 포함) ․ 보도문에 걸치는 이들 네 유형 가운데서 정론이 16편으로 72%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다. 예술 문학 쪽 글은 2편에 지나지 않는다. 내용에서도 문학예술 활동 바깥쪽, 초기 북한의 통일 책략과 대남 평화 공세에 따르는 정치적, 사회적 의제가 대부분이다. 작가로서보다 적극적인 현실 정치 선동가로서 면모가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이 글로 말미암아 재북 시기 이태준의 문필 활동의 총합은 44편에서 66편으로 크게 늘었다. 아울러 작가에서 더 나아가 정치론적인 데까지 리태준에 대한 이해 지평을 넓혀야 할 당위성을 얻었다...
[학술논문] 임소향의 월북 후 전통예술 활동 연구
임소향은 근대부터 활동한 여성예술인으로, 한국전쟁 때 월북했다. 월북 후 그녀는 북한의 전통예술 발전과 교육 및 전승에 일조했다. 본고는 임소향의 월북계기와 시기를 알아보고, 1950년대 이후 북한 전통예술계 상황을 기반으로 그녀가 펼친 활동을 창극과 판소리, 춤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임소향의 창극 활동은 <춘향전>, <이순신 장군(출진)>, <심청전>이 있다. 북한의 창극 배우로 활동하며, 쐑소리 제거를 위한 과업에 동참했다. 임소향의 창극 공연은 1950년대에만 이루어졌고, 1960년대에는 판소리 활동을 주로 하며 보존을 위한 정립에 힘썼다. 한편, 임소향의 전통춤 활동도 보이는데, <승무>, <원앙무>같은 춤을 공연했다. 1990년에 공연하러 온
[학술논문] 사회적 신뢰형성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공연예술단체의 활동 분석
...통일한국사회를 준비하며 예술 중심의 신뢰형성전략 개발 및 실행방안에 대하여 학술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틀은 나이(Nye Jr.)의 소프트 파워(soft power), 오페(Offe)의 신뢰(trust), 위조미어스키(Wyszomirsk)의 예술의 공공목적 개념을 바탕으로 구성되었고, 이러한 개념적 틀을 토대로 어떻게 예술이, 특히 북한이탈주민의 예술활동이 남·북한 시민 간 상호이해와 신뢰를 형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가에 대한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정성연구방법으로 조사·연구하였으며, 근거이론 방법(grounded theory)을 통한 사례 연구(case studies) 및 자료 분석(document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역사적 배경, 정부기관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