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0년대 북한의 사회주의 상업과 ‘옥심상점’
...요구되었다. 정부는 ‘사회주의 상업’을 실시함에 있어 궁극적으로 사회주의 재생산에 초점을 두고 상품폰드와 구매폰드의 균형적 교환을 구조화시키고자 했다. 또한 구매폰드의 비조직시장 유입은 곧 계획경제의 차질로 이어졌기 때문에 정부는 개인상인들을 압박하는 동시에 국가상업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었다. 1955년에 등장한 김옥심의 ‘
옥심상점’은 전쟁 직후 상업망에 인입된 상업일꾼으로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전국적인 모범 상업일꾼으로 자리매김했다. 김옥심의 사업방식은 정부의 상업정책을 성실히 수행하는 가운데 개인상인들의 사업방식을 모방하고 발전시키면서 농업협동화 이후 성장한 농민들의 소비규모를 충족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농민들의 소비처를 비조직시장에서 조직시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