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녕지역 회도의 수용과 토기제작의 기술혁신
...동대장자와 연이 진출한 거점 내부의 원대자유적 토기유물군을 통해 이식된 회도와 토착 무문토기계가 공존하는 가운데 토착도공이 물레질을 익혀 소형 발과 호를 제작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그들이 물레질-타날법을 수용하여생활용기를 광범하게 생산했는지에 관해서는 알기 어려웠다. 요동지역의 상보촌과 서차구유적은 중원의 세력권 밖에 분포하는 토착집단의 고분군으로 그 부장 토기유물군에서도 토착 무문토기와 회도 생산체계의 공존이 확인되었다. 두 유적의 타날문호에 대한 관찰 결과 제국의 거점에서 수입된 것이 아니라 토착집단의 도공이 서한 초기의 打捺陶罐이나 壺의 제작기술을 익혀 생산해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통해
요녕지역 토착사회의 신제도기술 수용과 그 시기, 그리고 생산기종에 대한 일단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