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권력세습과 유교의 성군(聖君)신화
... 첫째, 북한의 체제 안에서 유교는 봉건종교이지만 유교의 도덕적 가치들(충과 효)는 계승되어야 할 ‘전통적
윤리’로서 활용되었다. 동아시아에서 ‘충’· ‘효’의 규율은 정치권력에 의해 오랫동안 동아시아인들에게 내면화 되어 있었고, 북한이 이를 사회주의 체제 유지를 위해 적극 활용하였다. 둘째 북한은 유교의 가족주의를 강화시켜 체제의 정당성 확보와 체제 안정을 확대해 가고 있다. 셋째 북한 정권의 김정일 신격화·우상화는 유교의 성인 통치 즉 성군(聖君)의 요청과, 권위주의 정권을 수용할 수 있는
유교적 사회 분위기 아래에서 가능하였다. 넷째 김정일의 ‘백두광명성’의 상징은 ‘유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