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蛛山九曲〉題材 漢詩에 대한 一考察
...구곡 마다 9개 ‘曲’의 명칭이 다르기 때문에, 9개 ‘曲’의 특징을 묘사한 내용은 개인이 설정한 구곡마다 다르다. 이점이 구곡시의 보편적 특징이다. 유응두는〈蛛山九曲韻〉에 道學的 思惟를 移入하여 시를 지었다. 柳曦永은 그 후손이 광복이전 유인석을 따라 남쪽으로 이주하여 여기 저기 옮겨 살아 자세한 정보를 알기 어렵다. 그가 남긴 원고를 그 증손자
柳在徑이 다행히 문집으로 발간하여 〈蛛山九曲韻編題〉를 보게 됐다. 유희영의 〈蛛山九曲編題〉는 托物寓意 수사법으로 주산구곡의 승경을 적절히 잘 묘사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응두와 유희영이 蛛山九曲에 대해 지은 시를 통해, 지금 북한지역의 구곡문학의 일면을 이해할 수 있어 그 구곡문학적 의의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