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율곡철학 연구의 융합적 지평과 그 외연
...셋째, 대동법(大同法)을 중심으로
율곡의 경세관을 살펴보았다. 북한 학자들은
율곡의 경세관을 그의 애민사상을 중심으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결국은 봉건주의적 관념론으로 이해하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넷째, Adam Smith(1723~1790)의 『도덕감정론(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1759)』에 나타난 경세관과
율곡의 경세관을 비교하고, 이를 통하여
율곡 경세론에 관한 연구의 지평 확대와 그 외연의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고 철학자의 시대적 역할을 논증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율곡의 철학이 철저하게 생활에서의 실천과 일치해야 한다는 “이사일치(理事一致)”의 정신으로 일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율곡의 철학이 또한 오늘날 인문학의 위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