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 여성의 의복변화 연구
...되었고 의식변화의 원인이 되었다. 의식변화는 곧
의복
변화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장화와 외부정보 유입은 직업별
의복
변화와 함께 일반인들의 의복생활에서 다양한 변화로 이어졌다. 특히 디자인과 칼라의 변화가 다양해졌다. 넷째; 조선옷은 생활복과 행사복 및 결혼식예복의 역할을 함으로써 의복생활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북한이탈주민의 심층면접을 통해 한류와 외부문화가
의복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리설주의 패션은 북한여성들의 유행심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2000년 이후는 패션등장기로 표현될 만큼 자아의 표현수단이라는 의복의 양상이 나타나는 다양한
의복
변화를 보였다. 자아와 개성을 표출하려는 개인의 욕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