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한국문학사 2종의 한국고전문학사 인식과 서술 양상: 남북한문학사와 자국문학사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중국에서 중국어로 집필된 한국문학사 가운데 조선족 학자인 李岩(외)의 『조선문학통사』(2010)와 한족 학자인 韋旭昇의 『조선문학사』(1988, 2008)의 서술시각을 남북한문학사와 비교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와 북한 15권본에서는 시대구분 방식, 장르의 개념, 개별 작품 에 대해 논의를 세밀하게 전개하면서 이를 문학사 서술에서 적극 활용한 바 있다. 그러나 韋旭昇과 李岩의 한국문학사에서는 남북한의 이러한 이론적 논의 과정에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李岩의 『조선문학통사』는 2010년에 출간되었고, 韋旭昇의 『조선문학사』는 1986년 초판을, 2000년과 2008년에 개정판을 출간했다. 두 문학사의 출간 시점으로 보면, 한국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