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화장의 기호학적 체계 구성과 의미작용의 고유성 연구: 장 마리 플로슈의 준-상징체계를 활용하여
사회주의 국가에서 화장은 국가 체제의 통제된 미적 감각인 사회주의 미감에 상응해야 허용된다. 이는 표면적으로 화장을 개인적 차원의 것으로 규정하는 것 같지만 실상은 사회적 차원의 것으로 여겨지고 있음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의 화장문화를 특정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하나의 기호체계로 보고 구체적으로 북한 여성의 화장이 어떤 의미적 특성을 갖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우리는 미하엘라 노로크가 촬영한 28장의 북한 여성 사진을 대상으로 삼아 북한 화장의 의미작용을 추적하였다. 화장에서 조형적 요소는 의미 결정에 지배적인 역할을 한다. 화장의 조형적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분석 대상에 대한 기호학적 재구성이 필요하다. 화장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이 가능해진 후에 플로슈의 준-상징체계 개념을 활용하여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