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지역의 서원·사우 현황과 숭양서원의 위상
본 논문은 현재의 북한지역에 건립되었던 조선시대 서원·사우의 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가 숭양서원이 가지는 위상을 살펴본 것이다. 북한지역은 하삼도에 비해 사족들의 수가 적고 학문적 수준도 낮았으며 현달한 인사가 없었다. 따라서 서원·사우도 하삼도에 비하여 수적으로는 열세였으며, 서원의 제향인은 북한지역 출신 인사보다는 문묘종사대현, 지방관, 중국 성현의 비중이 높았다. 그러나 사액 비율은 하삼도에 비하여 매우 높았는데, 그것은 이 지역에 대한 조정의 관심이 컸음을 방증한다. 특히 개성의 숭양서원은 국왕의 관심이 지대하였다. 실제 건립 이래로 모두 9차례의 치제가 확인되며, 왕명으로 어제어필을 판각하여 게시한 것과 서적이 반사된 것 등은 모두 국왕의 관심을 반영한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관심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