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냉전을 추억하며: 미․소 냉전시기 경험에서 바라 본 북한의 핵전력
북미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북한과 국제 사회 간의 협상이 가시화되고 있지만 북한의 핵전력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 및 평가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북한의 핵전력이 군사적 차원 및 협상 국면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이동식 ICBM과 SLBM을 개발한 냉전 시기 소련의 핵위협에 맞서 미국은 군사 정보능력을 발전시켜 소련 핵전력의 위치를 탐지하고 생존성을 저하시켰다. 우리는 미국의 냉전 경험과 군사 정보능력을 공유하는 한편 독자적인 정보능력 확충과 체계적인 냉전 연구를 실시하여 북핵 위협을 억지하는 한편 협상 국면에 미칠 북핵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전시 북한 핵전력 배치방식의 딜레마와 시사점 - 고정배치와 이동배치의 3가지 딜레마를 중심으로
최근 북한이 빠른 속도로 핵전력을 발전시키고 있지만 열악한 경제여건 때문에 북한은 핵전력의 규모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없고, 외부적으로는 한국과 미국의 탐지/추적 능력 및 정밀타격 능력이 핵무기의 생존성을 심각하게 위협한다. 그리하여 북한은 소규모 핵전력의 생존성을 강화시키는 배치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데, 고정 배치와 이동 배치방식은 상반된 강․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북한은 전시 핵전력 배치방식을 결정할 때 방어와 포착의 딜레마, 지휘통제력과 억지력의 딜레마, 포착과 조달의 딜레마에 직면할 것이다. 전시 북한은 체제 및 정권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이동 배치방식을 선택할 것이고 이동 배치방식이 각각의 딜레마로 인해 가지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북한은 방공 보루 전략, 통신 중계소 개설 및 군부 내 감시
[학술논문] A Crisis of Identity : Social Experience and Collective Memory Among the New Generation in Korea
Recent surveys have shown that specific younger generation cohorts in South Korea have manifested unfriendly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and skepticism about the need for unification. In this study, we argue that powerful social experiences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 which these cohorts underwent during the most important periods of their lives, have transformed into a collective trauma